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4년, 노동권과 플랫폼 경제를 다루는 다양한 행사와 대회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며, 이들은 플랫폼 노동자들이 직면한 문제와 이에 대한 해결책을 논의하는 중요한 기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플랫폼 경제는 디지털화된 서비스업과 관련된 일자리 창출을 의미하며, 우버, 배달의 민족, 에어비앤비와 같은 플랫폼 기업에서 근무하는 사람들, 즉 ‘긱 노동자’들이 이 경제 모델의 핵심입니다. 하지만 이들은 종종 노동권을 보호받지 못하는 환경에 놓여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 여러 국제적, 지역적 행사와 대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1. 국제노동기구(ILO)와 플랫폼 노동에 대한 논의

     

    국제노동기구(ILO)는 2024년 1월, 플랫폼 경제에서의 ‘적정 노동 실현’(Realizing Decent Work in the Platform Economy) 보고서를 발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2025년과 2026년에 논의될 국제 노동 기준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플랫폼 경제에서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다양한 국가들이 이를 기반으로 정책을 도입하거나 법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논의는 플랫폼 경제에서의 ‘적정 노동’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각국 정부와 노동자 단체들이 이 보고서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고 있으며, 플랫폼 노동자들의 권리를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

     

    2. 미국과 유럽에서의 플랫폼 경제 규제

     

    MIT 플랫폼 보고서에 따르면, 플랫폼 경제는 다양한 규제와 직면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연합(EU)은 **디지털 서비스 법(DSA, Digital Services Act)**을 통해 대형 플랫폼 기업들이 정기적으로 감사를 받고, 추천 알고리즘을 투명하게 운영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와 달리, 미국의 플랫폼 규제는 여전히 비교적 느슨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법적 면책 조항이 강력합니다. 이러한 차이점은 각 지역에서 노동자 권리 보호의 방식에 차이를 만들고 있으며, 이는 플랫폼 경제에서 노동자가 어떻게 보호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국제적 논의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

     

    3. 하버드 법대의 노동 행사

     

    2024년 3월, 하버드 법대에서 열린 Labor Spring 2024는 다양한 계층의 노동자와 교육자, 환경 운동가, 활동가, 정치인 등이 모여 노동자 권리와 인종 평등을 위한 토론을 벌였습니다. 이 행사는 특히 긱 노동자들이 플랫폼 경제에서 직면한 문제를 논의하는 중요한 자리로, 플랫폼 노동자들이 겪고 있는 임금, 근로 조건, 고용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제안되었습니다. 이는 노동 운동의 재도약을 위해 노동자들 간의 연대를 강조하는 행사로, 앞으로의 노동권 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

     

    4. 플랫폼 경제와 AI, 자동화

     

    플랫폼 경제의 또 다른 주요 논점은 AI와 자동화의 도입입니다. MIT 보고서에서는 인공지능(AI)이 플랫폼 경제의 효율성을 높이고,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고 분석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AI는 새로운 노동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노동자의 권리를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자동화로 인해 노동자의 역할이 축소되거나, 특정 기술이나 직업군이 사라질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는 노동권 보호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결론

     

    플랫폼 경제는 새로운 일자리와 경제적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노동자들이 기본적인 권리를 보호받지 못하는 위험을 동반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 노동자 단체들이 적극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4년에도 이러한 논의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플랫폼 경제에서의 노동자 권리 보호를 위한 법적 장치 마련과 함께, AI와 자동화 도입에 따른 노동 환경 변화에 대비하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반응형